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2

청도 이외에 신안에서도 조형물 사기가 있었다는데, 왜 지자체는 이런 일을 할까. 청도군 조형물은 최바오로(최영철)라는 사람의 사기행각에 빠져 어처구니없게 설치된 것이라는 기사에 특정작가 특혜라는 제목은 잘못되었다는 글을 포스팅을 했다. 그런데 신안군에서도 최영철에게 당했다는 기사가 들끓는다. 신안군은 19억 원을 들여 무려 3백 개가 넘는 조각을 설치했다는데, 그렇다면 기초단체나 지자체에서 왜 이런 일이 일어날까. 1. 청도군과 신안군에서 일어난 최바오로(최영철)의 조형물 사기수법은 비슷하다. 청도군이 최바오로의 조형물을 설치한 과정처럼 신안군의 조형물 설치과정도 비슷하다. 먼저 신안군수에게 기증을 하겠다도 편지를 보내고, 몇 개를 설치하고 그 이후에 군수에게 환심을 사고, 기증이 아니라 아예 미술관까지 만들었다. 그것도 지붕 없는 미술관이라고 천사상 미술관이라고 거창하게 300개가.. 2024. 2. 12.
ぼくは Lee Ufan(です)= 나는 이우환(입니다) 메트로폴리탄 미술관(The Met)에서 한국미술에 관한 전시인 계보: The Met의 한국미술(Lineages: Korean Art at The Met) 홍보영상과 함께 나란히 게시된 아티스트 프로젝트(The Artist Project: Lee Ufan) 영상에서 이우환 작가 목소리로 "ぼくはLee Ufan(です)= 나는 이우환(입니다)"가 첫소리이다. 그런데 이 말이 이상하게 들리는 건 나만 그럴까? 달항아리를 설명하며 처음 하는 말, ぼくはLee Ufan 이 영상에서 이우환 작가가 출연해서 전시에 나오는 18세기 후반에 제작된 달항아리를 설명하고 있다. 첫소리로 들을 수 있는 말은 " ぼくはLee Ufan"이다. 이어 다른 사람이 영어로 '나는 캔버스와 조각 작업하는 작가이다'라고 이어진다. 이 첫소.. 2024. 2. 8.
청도군의 조형물은 특정작가, 특혜 의혹이라는 기사는 잘못되었다 일주일 전부터 경북 청도군에서 설치한 조각 때문에 기사들이 넘쳐난다. 이 기사들 제목을 보면 대개 특정작가에게 특혜를 준 것으로 판단하고 이에 대한 후속보도까지 이어지고 있다. 그중에서 우리를 놀라게 하는 것은 이 작가의 이력이 **보호소에서 복역했고, 사기가 *범이라는 전과까지 드러났다. 전과자가 작가를 할 수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관점 자체가 잘못되었다. 잘못된 관점이라는 것은 '특정작가에게 사기를 당한 것이 아니라, 사기꾼에게 사기를 당한 것이다.' 또, 미술품 혹은 예술품, 작품을 설치하 것이 아니라, 사기꾼이 만든 제작물을 가져다 설치한 것이다. 그러니까 수준 높은 미적 취미와 예술 메시지가 포함된 것이 아니라, 그저 조각물을 가져다 놓은 것이라는 말이다. 따라서 특정작가의 특혜가 아니라, .. 2024. 2. 6.
메트로폴리탄의 '다시 보는 유럽 회화'에서 찾아낸 재미있는 작품 메트로폴리탄미술관(The MET)은 뉴욕 5번가에 있는 갤러리 천창을 1억 5천만 달러를 들여 개조공사를 하고 전시를 열었다. 이 전시는 초기 르네상스부터 19세기까지 미술작품이 전시될 뿐만 아니라 지도, 조각, 도자기, 악기도 전시되고 있다. 여기서 재미있는 작품 하나를 발견해 그것을 소개하려 한다.    다시 보는 유럽 회화 1300~1800,  전시 개요새로 단장한 유럽 회화 전용갤러리 600~644에서 열리는 다시 보는 유럽 회화 1300~1800(Look Again European Paintings)>는 메트가 소장하고 있는 700점이 넘는 유럽 회화와 조각, 도자기 등으로 구성된 전시이다. 전시 이름에서 보듯이 새로운 것이 아니라, 다시 보는 것으로 이미 세상에 알려질대로 알려진 유명한 작품.. 2024. 2. 6.
제대로 일하는 공립미술관과 일하지 않는 공립미술관 구분법 하나 해가 바뀐 지 2달이 넘었다. 제대로 일하는 공립미술관과 일하지 않는 공립미술관 구분법이 이때쯤 하나가 있다. 그것은 바로 '예정전시' 혹은 '준비 중 전시'를 누리집(홈페이지)에 한해 전시 일정이 올라와 있느냐 그렇지 않느냐로 구분하는 것이다. 또 외국 예를 들어야 하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유명 미술관, 박물관 홈페이지를 검색해 보면 알 수 있다. 그들은 한 해가 아니라 심지어 2, 3년 뒤에 하는 전시도 개괄적으로 게재한다. 이것이 미술관의 수준 차이이다. 별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공립미술관이 생긴 지 벌써  37년이나 흘렀다.   국립현대미술관을 제외하고, 소위 시립미술관, 도립미술관 등 공립미술관이 처음 개관한 것은 제주도 기당미술관(시립이라는 명칭은 쓰지 않고 있다)으로 1987년 7월 1일에.. 2024.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