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24

전성기에서 쇠퇴기까지의 등장한 작가들 - 우키요에 5 에도 시대 중엽부터 시작된 우키요에는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특히 니시키에 기법의 등장은 튼튼한 종이의 발명에 힘입었다. 여기에 에도의 상인들의 요구에 의해 다양한 장르가 등장했으며 특히 미인도가 주류를 이루었다. 에도시대 말기까지 우키에요에는 일반인에게까지 펴지게 되었다. 여기는 이 시대에 등장한 우키요에 작가들을 살펴보려 한다.   에도 중기에 등장한 우키요에 작가들우키요에는 막부가 에도에 들어선 지 150년이 흐른 1765년, 스즈키 하루노부(鈴木春信, 1725~1770)가 부유층들 사이에 유행하던 그림달력 교환을 위한 수요에 응해서 목판을 조각하는 사람(彫師 조각하는 사람), 판화를 찍는 사람(摺師 인쇄하는 사람)의 협력으로 니시키에(錦繪)라고 부르는 10가지 이상의 다색판화를 고안했다. 다색판화를.. 2024. 12. 22.
니시무라 시게나가(西村重長), 이시카와 토요노부(石川豊信) - 우키요에 4 에도 중기 시대의 작가 중에서 지난 편 오쿠무라 마사노부(奧村政信 1686~1764)에 이어,  니시무라 시게나가(西村重長, 1697?~1756)와 이시카와 토요노부(石川豊信, 1711-1785)를 알아보기로 한다. 이들은 우키요에의 다양한 제작벙법을 개발하고 서양의 원근법을 도입하여 더욱 새로운 화면구성법을 보여주는 작가들이다.  우키요에 영역을 확장한 니시무라 시게나가(西村重長, 1697~1756)니시무라 시게나가(西村重長)는 1697년 에도에서 태어났다. 그는 ‘토리이’ 가문의 우키요에를 독학으로 공부했다고 전해진다. 오쿠무라 마사노부(奧村政信)보다 10년 뒤에 태어났으나, 활동 시기는 마사노부와 거의 같다. 그의 제작 방식은 우키요에의 거의 모든 형식으로 제작했으며, 마사노부의 형식의 영향을 받아.. 2024. 12. 21.
에도시대 중기, 오쿠무라 마사노부(奧村政信) - 우키요에 (3) 에도에 막부가 들어서고 1700년대로 들어서며 더욱 상업은 발전하게 되고, 우키요에 수요도 늘어어만 갔다. 이 시기에 오쿠무라 마사노부(奧村政信 1686~1764), 니시무라 시게나가(西村重長, 1697?~1756), 이시카와 토요노부(石川豊信, 1711-1785) 등이 등장한다. 이들은 우키요에의 다양한 제작벙법을 개발하여 보다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하고 특히 당시 서양으로붜 유입된 '원근법'을 도입하여 독특한 화면구성법을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오쿠무라 마사노부의 작품만 소개한다. 오쿠무라 마사노부(奧村政信 1686~1764)오쿠라 마사노부는 1686년 에도에서 태어났다. 토리이 키요노부(鳥居淸信, 1664~1729 )(앞 글에서 소개)  작품을 혼자 즉 독학으로 연구하며 우키요에를 배웠다. 당연히 키.. 2024. 12. 19.
우키요에 제작기술을 확장시킨 토리이(鳥居) - 우키요에 2 지난 편에서는 우키요에(浮世絵) 창시자로 불리는 히시카와 모로노부(菱川師宣, 1618~1694)에 관해 간단히 알아보았고 이번에는  우키요에를 널리 보급하는데 기여한 토리이(鳥居) 가문 출신 작가를 소개하려 한다. 이들은 서적 수요가 늘어나면서 우키요에 제작도 늘어나게 되었다. 토리이 가문은 대대로 우키요에를 제작해 유명해진 가문이다.       토리이(鳥居) 가문의 토리이 키요노부토리이 키요모토(鳥居淸元)와 그의 아들 토리이 키요노부(鳥居淸信, 1664~1729) 그리고 키요노부와 부자인지 형제인지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토리이 키요마스(鳥居淸倍, 미상) 이들이 토리이 가문의 작가들이다.  이들의 등장 이후 우키요에를 회화로 부를 수 있게 그 성격을 확립한 작가들이라고 할 수 있다.  키요모토는 오.. 2024. 12. 18.
제대로 읽는 우키요에(浮世繪) : 탄생 배경과 초기 작가들 (1) 에도 시대에 등장한 '우키요에'는 일본 목판화로 유럽 인상파와 현대미술에 영향을 끼친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에게도 꽤 익숙한 작품들이 많지만 꽤 잘못된 정보가 많다. '우키요에' 탄생에 관계된 사회적, 문화적 배경과 유명 작가들의 작품을 알아보려 한다. 그 과정에서 가능한 바른 정보를 제공하려 한다.   1. 에도의 정치적, 사회적 배경임진왜란을 일으킨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 가 1598년 죽자, 임진왜란에 여러 핑계를 대며 참전하지 않았던 도쿠가와 이에야스(德川家康)는 자신의 야망을 드러낸다. 결적인 계기는 세키가하라(關原) 전투에서 승리하고 권력을 장악하면서이다.  도쿠가와는 1600년 9월(음력)에 일본의 전국에 패권을 잡고, 1603년 ‘세이다이이쇼군’(征弟大將軍)의 칭호를 받고 진영.. 2024. 12. 10.